[블록미디어 이은서 기자] 미국 친(親)비트코인(BTC) 성향의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이 “미 정부의 전략 비트코인 비축금(SBR)은 언제든 조성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련 법안의 마지막 절차를 앞두고 재무부에 권한을 부여함에 따라, 본격적인 추진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7일(현지시각)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루미스 의원은 X(옛 트위터)를 통해 “입법은 느리지만, 트럼프 대통령 덕분에 SBR 자금 조달은 이제 언제든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프로캡BTC의 제프 파크와 비트코인 옹호론자 앤서니 폼플리아노가 미국이 금 보유 이익을 활용해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게시물에 대한 답글로 나온 것이다.



트럼프 행정명령, 비트코인 비축금 추진 ‘신호탄’



루미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3월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재무부에 비트코인 비축금 설립 권한을 부여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명령은 정부가 이미 보유 중인 비트코인을 활용해 국고 준비금을 조성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는 이번 비축금 조성이 납세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구조라는 점에서 적극 지지 의사를 밝혔다. 루미스 의원은 “전략 비트코인 비축금은 비트코인법의 일부로, 비트코인을 금 등 기존 국고 자산과 함께 미국의 공식 금융자산으로 포함시키는 법안”이라고 말했다.



루미스 의원은 또한 이번 계획이 단순한 투자 목적을 넘어 “글로벌 경제가 디지털화되는 시대에 미국이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엘살바도르 등 일부 국가들이 이미 비트코인을 국가 준비금에 편입한 사례를 언급하며 “미국 역시 변화하는 세계질서 속에서 금융 주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매입 논의 이미 진행 중”



투자자 제프 파크는 폼플리아노와의 영상 대담에서 “미국 정부는 금 보유로 인한 평가이익 약 1조달러(약 1413조9000억원)를 활용해 부채나 세금 부담 없이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향후 연평균 12%씩 성장할 경우, 30년 내 투자 가치가 30배로 증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루미스 의원은 해당 영상에 “미국이 왜 비트코인법과 전략 비트코인 비축금을 추진해야 하는지를 완벽히 설명한 사례”라며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답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루미스 의원의 발언이 “미 정부 내 비트코인 공식 매입 논의가 이미 시작됐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비트코인 지지자 폼플리아노 역시 “비축금 설립은 중요한 첫걸음이지만, 실제로 정부가 시장에서 비트코인을 직접 매입할 때 변화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체인 분석업체 아컴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 미 정부는 약 19만8000BTC(시가 약 240억달러·약 33조9336억원)를 보유 중이다. 이들 대부분은 실크로드 사건 등 형사·민사 소송 과정에서 압류된 자산이다.



갤럭시 리서치 책임자 알렉스 손은 “전략 비트코인 비축금이 도입되면 정부는 압류된 비트코인을 민간 경매에 넘기지 않고 재무부 자산으로 편입할 수 있다”며 “해당 프로젝트는 2025년 말까지도 완성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87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