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3
14:01

LG 선수단이 2025 한국시리즈 우승 후 트로피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스타뉴스
2025년 KBO리그가 모두 끝났다. 정규시즌 우승팀
LG 트윈스
가
한화 이글스
를 4승 1패로 제압하며 2년 만에 한국시리즈 정상에 올랐다.
이번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2경기, 준플레이오프 4경기, 플레이오프 5경기, 한국시리즈 5경기 등 총 16경기가 진행됐다.
총 33만 5080명의 관중이 야구장을 찾았고, 입장권 판매 수입은 약 157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47억 원을 10억 원 넘게 갱신하며 사상 최대치를 다시 썼다.
해마다 한국시리즈가 끝나면 다음 날 어김없이 우승팀의 배당금 관련 기사가 쏟아진다.
올해 역시 마찬가지였다.
KBO(한국야구위원회) 규정 제47조에는 포스트시즌 입장권 수입 배분 기준이 명시돼 있다.
KBO는 행사 운영비와 제반 비용을 제하고 남은 금액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5개 구단에 나눈다.
제반 비용은 전체의 약 43~45% 수준으로, 평균치인 44%를 적용(69억 원)하면 올해 배당금 총액은 약 88억 원이다.
여기서
정규시즌 우승팀(올해는 LG)이 전체의 20%(약 17억 6000만 원)를 먼저 가져간다
.
남은 금액 70억 4000만 원은 포스트시즌 성적에 따라 분배된다.
한국시리즈 우승팀(올해 LG)은 잔여금의 50%(약 35억 2000만 원),
준우승팀 한화는 24%(약 16억 9000만 원),
플레이오프 탈락팀
삼성
은 14%(약 9억 9000만 원),
준플레이오프 탈락팀 SSG는 9%(약 6억 3000만 원),
와일드카드 탈락팀
NC
는 3%(약 2억 1000만 원)를 각각 받는다.
이 모든 금액은 각 구단이 선수들과 코칭스태프에 전액 배분한다.

한화-LG의 한국시리즈가 열린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모습. /사진=스타뉴스
여기에 우승 구단은 모기업으로부터 추가 보너스를 받는다.
올해 LG는 정규시즌 우승금 17억 6000만 원과 한국시리즈 우승금 35억 2000만 원을 합쳐 총 52억 8000만 원을 확보했다.
LG그룹이 규정상 가능한 최대 보너스 한도(배당금의 50%)를 지급할 경우 26억 4000만 원이 추가된다.
결국 LG는 올 시즌 우승으로 총 79억 2000만 원을 챙길 수 있다.
2년 전인 2023년 우승 당시 총 44억 1000만 원(배당금 29억 4000만 원+보너스 14억 7000만 원)과 비교하면 약 80% 증가한 수치다.
이 역시 전액 선수들과 코칭스태프에 돌아간다.
흥미로운 사례도 있다.
SK 와이번스(현 SSG 랜더스)의 경우 2003년 창단 후 첫 준우승을 하고도 모기업 SK텔레콤이 추가 보너스를 지급했다.
KBO 포스트시즌 배당금과 보너스를 합쳐 총 11억 원이었는데, 당시 SK텔레콤의 이동통신 번호가 '011'이라는 점에 착안해 상징적으로 11억 원으로 맞춘 것이다.
여기까지는 매년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 숫자다
.
하지만 우승 구단의 포스트시즌 배당금 분배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포스트시즌 배당금은 전액 선수들과 코칭스태프에 나눠지는데, 이들에게는 '누가 얼마를 받느냐'가 최대 관심사다.
그런데 우승 구단의 경우 매년 볼멘소리가 나온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한화와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삼성 선수단. /사진=스타뉴스
필자는 구단 프런트 시절 다섯 차례 우승을 경험했다.
배당금을 분배하는 담당 부서인 운영팀은 언제나 골치가 아프다.
필자가 단장으로 있었던 2022년 SSG 랜더스 통합우승 때도 마찬가지였다. SSG는 전신 SK 와이번스가 2018년에 우승한 경험이 있었기에 배당금을 분배하는 방식이 낯설지 않았지만, 오랜만이나 첫 우승을 한 경우에는 최근 우승을 경험한 구단에 전화를 걸어 "배당금은 어떻게 나누느냐"고 묻는다.
대부분 구단은 선수들과 코칭스태프의 배당 비율을 70 대 30으로 나눈다.
한국시리즈 엔트리에서 제외된 일부 선수나 2군 코칭스태프에도 일정 금액을 배분한다.
배당 기준은 포스트시즌 성적뿐 아니라 정규시즌 기여도까지 포함되기 때문이다.
한국시리즈 엔트리는 30명이지만 실제 배당금을 받는 선수는 5~10명 더 많다.
구단마다 세부 기준은 다르다. 보통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을 각각 5~6단계로 나눈 뒤 합산한다.
최고 금액을 받는 선수 7~8명이 산출되고, 이 금액이 곧 팀내 기준선이 된다.
이 금액이 선수들끼리 비교하는 잣대가 된다.
그래서 운영팀이나 단장은 이전 우승 구단의 최고 금액 수준을 파악한다.
같은 우승팀인데 다른 팀보다 배당금이 적으면 선수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기 때문이다.

LG 선수들이 염경엽(가운데 위) 감독을 헹가래치고 있다. /사진=스타뉴스
코칭스태프 배당은 선수들과는 달리 등급을 나누지 않는다.
과거보다 코치 인원이 늘었고, 감독의 몫도 커졌다.
그러다 보니 일반 코치들의 배당금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2군 코치는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
구단 입장에서는 2군 코치들을 챙겨주지 못하는 게 아쉬운 부분이다.
총액은 정해져 있는데 나눠야 할 인원은 많기 때문이다.
결국 2군 코치가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 자연스럽게 코치들의 '1군 선호 현상'이 심화된다.
코치들 역시 이전 우승 구단 코치들의 배당금과 비교하기 때문에 1군 코치만큼은 이전 우승 구단의 사례에 맞추려고 노력한다.
그러다 보니 2군 코치 몫은 줄어들기 마련이다.
구단 임직원은 포스트시즌 배당금 분배 대상에서 제외된다. 대신 모기업 차원의 성과급을 따로 받는다.
이처럼 배당금 분배는 우승 다음날부터 벌어지는 '작은 전쟁'이다.
우승 구단은 이 작업을 원만히 마무리해야 선수단과 코칭스태프가 즐거운 마음으로 다음 시즌을 준비할 수 있다.
행복한 고민이지만, 결코 가벼운 일은 아니다.
오랜 기간 우승을 하지 못한 구단이라면 이 '행복한 고민'조차 부러운 일이 될 것이다.
우승 기쁨은 잠시, '배당금 누구에 얼마씩' 행복한 고민 시작된다 [류선규의 비즈볼]
고액 연봉 선수들은 사양 하는게 보기 좋은데 ,, 과연
토토하이, 토토하이먹튀신고, 토토힌먹튀사이트, 토토하이먹튀검증사이트, 토토하이먹튀없는사이트, 토토먹튀, 먹튀토토, 토토하이먹튀예방, 토토하이먹튀제보, 토토하이먹튀확인, 토토하이먹튀이력조회, 먹튀피해, 토토하이먹튀검증업체, 토토하이먹튀사이트검증, 토토하이먹튀공유, 토토하이먹튀사이트목록, 토토하이먹튀리스트, 토토하이안전공원, 토토하이안전놀이터, 토토하이안전사이트, 토토하이검증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