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밤하늘 가를 누리호, 13개 위성 "우주 배송"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27일 밤하늘 가를 누리호, 13개 위성 "우주 배송"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7 08:39






4호기

27

일 오전 1시쯤 발사


이륙 후 첫 분리는 '차중 3호'


모두 국내 산학연 개발·제작, 실험 플랫폼 검증·관측 기대




누리호 4차 발사, 무엇이 실릴까/그래픽=이지혜

원본보기




누리호 4차 발사, 무엇이 실릴까/그래픽=이지혜



이달 발사하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는 약

960

㎏에 달하는 국내 산·학·연 제작 인공위성이 실린다. 우주 도달 뒤 가장 처음으로 분리될 위성은 '차세대중형위성 3호'다. 누리호 이륙

807

초(

13



45

초) 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6

일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에 따르면 이달

27

일 오전 0시

54



~1



14

분 사이 발사 예정인 누리호 4호기에는 차세대중형위성 1기와 큐브위성

12

기가 실린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이하 차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이 개발했다. 무게가

516

㎏에 달하는 중형위성이다. 차중 3호는 우주과학 연구와 우주기술 검증이라는 임무를 띠고 고도

600

㎞의 태양동기궤도에 놓인다. 누리호 이륙

807

초 후, 탑재된 위성 중 가장 먼저 사출되는 위성이다.






차중 3호에는 3개 탑재체가 실렸다. 한림대가 제작한

3D

바이오프린팅 및 줄기세포 기술 검증용 '바이오 캐비닛', 우주 플라스마와 자기장을 측정하는

KAIST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의 '

IAMMAP

', 한국천문연구원의 지구 오로라와 대기광 관측 카메라 '

ROKITS

'다.








차세대중형위성 상상도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본보기




차세대중형위성 상상도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총무게

79

㎏인

12

개 부탑재위성은 차중 3호에 이어 약

20

초 단위로 한 번에 2대씩 분리될 예정이다. 모두 국내 산업계, 학계, 연구계가 개발·제작했다. 인공위성

R&D

(연구·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해 발사 비용은 우주청이 전액 부담했다.






먼저 국내 산업계 5곳의 위성이 실린다. 스페이스린텍이 개발한 '

BEE-1000

'(비천)은 신약 실험 플랫폼이다. 중력이 거의 없는 우주환경에서 단백질 결정이 어떻게 성장하는지 관찰할 수 있다.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 4호'는 지구관측용 큐브위성이다.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재난 대응·치안 등 공공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코스모웍스는 광학계를 활용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구관측위성 '잭

-003'

과 '잭

-004'

를 보낸다. 우주로테크의 '코스믹'에는 임무 종료 후 우주를 떠도는 위성이 스스로 폐기되게끔 하는 '임무후폐기(

PMD

) 장치'가 실려 실제 우주 환경에서 성능을 검증한다. 쿼터니언의 '퍼셋

1'

은 제주도 해양쓰레기를 감시하는 큐브위성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도 2개 위성을 우주로 보낸다. 항우연이 개발한 '국산 소자부품 우주검증지원 플랫폼 1호'에는 국산 메모리·다이오드 등 반도체 부품이 실렸다. 우주방사선 환경에서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에트리샛'은 우주 저궤도 환경에서

IoT

(사물인터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실험하는 위성이다.






학계에서는 인하대, 서울대, 세종대,

KAIST

가 참여했다. 인하대 '인하 로샛'은 태양전지 모듈을 우주 환경에서 실험한다. 서울대 '스누글라이트'는 '두리'와 '하나'라는 쌍둥이 큐브위성이 편대비행하는 형태로, 지구 대기를 관측한다. 세종대는 적외선 대역에서 해양 플라스틱을 관측하는 위성 '스파이론'을 실어 보낸다.

KAIST

가 만든 '케이히어로'는 초소형위성용 홀추력기를 우주 환경에서 검증한다.








위성이 부착된 다중 위성 어댑터의 구조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본보기




위성이 부착된 다중 위성 어댑터의 구조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은 모두 나로우주센터에 지난달 입고돼 발사 준비를 마쳤다. 박종찬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 단장은 "차중 3호는

10



14

일, 부탑재위성

12

기는

10



21

일,

29

일,

31

일 3차에 걸쳐 나로우주센터에 정상적으로 입고됐다. 이달 초 부탑재위성을 사출관에 조립하는 작업도 완료했다"고 했다.






항우연은 부탑재위성들이 정상적으로 사출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누리호에 내부 카메라 3기를 설치했다. 카메라가 1대였던 지난 3차 발사에는 화각에 제한이 있어 큐브위성 1기(도요샛 3호기)의 사출 여부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누리호 4차 발사는 이달

27

일 새벽이다. 만약 발사가 불발될 경우 예비 발사일은 다음날인

28

일부터 7일간이다.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