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37
10.04
베이징대, 달 기지와 비슷한 곳에서 시험 운용

지난 달 말 중국 베이징 대학교 연구팀이 성능 테스트를 시작한 달 탐사용 로봇 개의 모습. 달의 유인기지 후보지로 유력한 지하 동굴 탐사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Handout
중국 연구진이 달 탐사에 쓰기 위한 ‘로봇 개’ 시제품의 성능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SCMP
)가 2일 보도했다.
SCMP
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대 컴퓨터과학부 연구팀은 지난달 28일 공식 소셜미디어에서 “자체 개발한 특수 로봇 개 두 대를 중국 동북부 헤이룽장성 무단장 인근의 호수 옆 용암 동굴에서 시험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로봇 개 성능을 시험한 장소는 중국이 향후 달 유인 기지를 세우려고 하는 달의 용암 동굴 지역과 여러모로 흡사한 장소였다고 한다.
달과 가장 비슷한 곳에서 ‘로봇 개’ 시험
SCMP
에 따르면, 연구진은 이날 사람이 직접 들어가기 힘든 동굴 안에서 로봇 개 두 대를 ‘정찰병(
scout
)’으로 투입하는 시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사람 대신 정밀 탐사 임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했다고 전해진다.
이날 현장에 있었던 베이징인공지능연구원 소속의 한 연구원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달 지형과 비슷한 용암 동굴 환경에서 성능을 시험한 덕분에, 앞으로 우주 탐사에 필요한 로봇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었다”고 했다.
로봇 개로 달 정밀 탐사
연구팀이 개발했다는 로봇 개는 ‘개미핥기형(
Anteater
)’과 ‘도롱뇽형(
Salamander
)’ 두 가지다.
개미핥기형은 강한 앞발을 가진 개미핥기의 특성을 닮았다.
유연한 로봇 팔과 튼튼한 주행 플랫폼을 결합, 좁고 복잡한 지형에서 자율 탐색이 가능하다.
장애물 처리, 샘플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도롱뇽형은 양서류의 유연한 움직임에 착안해 만들었다.
변형이 가능한 부드러운 바퀴를 장착해 바위나 좁은 동굴, 굴곡진 길 같은 험난한 지형에서도 탐사가 가능하다.
中은 왜 달 용암동굴에 기지 짓고 싶어하나
연구팀은 또한 이번 로봇 개 성능 테스트를 치르면서 “달 유인기지와 비슷한 환경을 찾아 시험 운용을 했다”고 했다.
이들이 테스트를 한 곳은 숲속 깊은 곳에 있는 한 용암 동굴이었다.
이는 중국이 달의 지하 동굴에 유인 기지를 짓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달 표면엔 실제로 200개가 넘는 구덩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은 달 정찰 궤도선 관측을 통해 지하 130~170m 깊이의 지하 동굴의 정체를 확인하기도 했다.
중국이 달의 동굴을 유인 기지 장소로 탐내는 이유는 탐사에 쓰일 각종 장비 유지 및 관리가 한결 쉽기 때문이다.
달 지표면은 낮과 밤의 온도 차가 섭씨 300도 이상 벌어지기 때문에 이곳에 장비를 그냥 두면 손상되기 쉽다.
반면 달의 동굴은 온도가 비교적 일정해 탐사 차량이나 각종 장비를 두기에도 적절하다.
중국뿐 아니라 미국, 스페인 등 서방의 연구팀들도 달 용암 동굴을 겨냥해 로봇 개를 개발·실험 중이다.
달의 지하 동굴이 유인 탐사의 핵심 전초 기지가 될 수 있다고 보고 각국이 이곳에 진입하기 위한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2026년쯤 달 탐사선 ‘창어 7호’를 발사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때 달 지진계(
seismograph
)도 탑재하고, 달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2030년까지 러시아와 협력해 국제 달 연구 기지(
ILRS
)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토토하이, 토토하이먹튀신고, 토토힌먹튀사이트, 토토하이먹튀검증사이트, 토토하이먹튀없는사이트, 토토먹튀, 먹튀토토, 토토하이먹튀예방, 토토하이먹튀제보, 토토하이먹튀확인, 토토하이먹튀이력조회, 먹튀피해, 토토하이먹튀검증업체, 토토하이먹튀사이트검증, 토토하이먹튀공유, 토토하이먹튀사이트목록, 토토하이먹튀리스트, 토토하이안전공원, 토토하이안전놀이터, 토토하이안전사이트, 토토하이검증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