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향한 칼질, 우주개발 심장도 도려내나···‘제트추진연구소’ 붕괴 가시화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NASA 향한 칼질, 우주개발 심장도 도려내나···‘제트추진연구소’ 붕괴 가시화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12 10.26













NASA

산하

JPL,

태양계 무인 탐사 등 주요 임무


트럼프 압박에 내년 예산

NASA

24%↓

JPL

46%↓


작년~올해 4차례 감원···전체 인력 30% 날아가


연구력 큰 손상···중국과 기술 격차 더욱 좁아질 듯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시에 소재한 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전경. JPL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시에 소재한 미 항공우주국(

NASA

) 제트추진연구소(

JPL

) 전경.

JPL

제공








미국 우주과학 연구의 핵심 기관인 미 항공우주국(


NASA


) 소속 제트추진연구소(


JPL


)의 조직 붕괴가 가시화하고 있다.







JPL




은 이달 전체 인력의 10%인 550명을 해고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감원 바람이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JPL


연구 역량에 중대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반세기 이상 미국이 주도하던 인류의 우주 개척 흐름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JPL


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데이브 갤러거 국장 명의로 성명을 발표하고 “미래


JPL


역할을 위해 구조조정을 실시한다”며 “인력 감축을 포함해 인원 재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라


JPL


에서는 연구와 행정 인력 등 550명이 조직을 떠나게 됐다.







현재


JPL


인력의 약 10%에 이르는 대규모 감원이다.








인력을 줄이겠다는 발표가 나자


JPL


내부는 강하게 동요하고 있다.




JPL


인력들이 모이는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해고 발표 이후 일주일이 넘게 지난 지난주까지도 “해고가 또 예정됐다는 소문이 있다”거나 “현재 남은 인력으로는


JPL


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불안과 불만을 토로하는 게시글이 꾸준히 올라왔다.






인력 감축 대상자가 된 한 연구원은 “고등학생 때부터


JPL


에서 일하는 것이 꿈이었다”며 “(이번 해고로) 그 꿈을 잃게 됐다”고 한탄했다.








JPL





인력 감축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초부터 이번까지 4차례 감원을 했다.










이 때문에 6500여명이던 전체 인원이 4500여명까지 쪼그라들었다.










2년 만에 전체 인력의 약 30%가 짐을 싼 것이다.










이런 급격한 인력 감축 이유는 무엇일까.






갤러거


JPL


국장이 이번 해고를 알리기 위해 내놓은 성명 가운데 단서가 있다.






그는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치”

라고 설명했다.






한마디로


JPL


예산이 사람을 자르는 중요 이유 중 하나라는 뜻이다.







현재


JPL


은 ‘짠물 예산’에 직면해 있다.




내년


JPL


예산안은 올해보다 46% 줄어든 8억9000만달러(약 1조2800억원)로 책정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말 대선에서 승리하자마자 연방 정부기관에 예산 축소를 거세게 압박했다.




NASA


도 예외가 아니었다.






내년


NASA


예산을 올해보다 24% 줄어든 188억달러(약 27조500억원)로 깎으면서 그 여파가


JPL


에도 밀어닥친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운영하는 화성 무인 탐사 차량 ‘퍼서비어런스’ 실제 모습.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

NASA

) 소속 제트추진연구소(

JPL

)가 운영하는 화성 무인 탐사 차량 ‘퍼서비어런스’ 실제 모습.

NASA

제공









눈에 띄는 점은


JPL


예산 감소 폭(46%)이 상위 기관인


NASA


예산 감소 폭(24%)보다 훨씬 크다는 것이다.






이유가 있다.






NASA


업무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싫어할 법한 일이


JPL


에 몰려 있어서다.









JPL




은 대중과 정치권이 큰 관심을 갖는, 우주비행사가 등장하는 탐사는 맡지 않는다.







대신 진중한 과학 결과물을 얻기 위한 ‘지루한’ 무인 탐사에 집중한다.






태양계 행성이나 위성에 원격 조종 차량 또는 탐사선을 파견한다.






태양계 밖 먼 천체를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일도 한다.






지구 궤도에 인공위성을 띄워 환경 변화를 살피는 일도


JPL


몫이다.







인력과 예산이 줄어든


JPL


은 미국의 우주 탐사 능력에 중대한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신형 우주망원경 발사를 취소하고, 현재 활동 중인 화성 무인 탐사 차량 ‘퍼서비어런스’의 운행 빈도를 제한해야 할 수도 있다.






지하 바다를 품은 목성 위성 유로파,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에 생명체 탐색용 무인 탐사선을 보내는 일도 연기 또는 포기해야 할 공산이 크다.




이 같은 우주 연구 능력 저하는 미국이 가장 예민하게 생각하는 중국과의 기술 격차 축소로 이어질 개연성이 크다.








특히 미래에 새로운 행정부가 들어서


JPL


예산을 서둘러 복구시킨다고 해도 연구 인력까지 ‘유턴’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NASA


를 떠난 사람들은 기업이나 대학 등에서 새 일자리를 얻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JPL


의 역량 손상이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미국 지구물리학회가 발간하는 매체


EOS


는 “아직 의회에서 통과되지도 않은 트럼프 대통령의 내년 예산안에 맞춰


NASA


지도부가 예산과 인력을 미리 줄이고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JPL


예산 축소와 인력 감축 악순환을 두고 미국 우주과학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NASA 향한 칼질, 우주개발 심장도 도려내나···‘제트추진연구소’ 붕괴 가시화











와 ,, 진짜 트럼프는 역대급인듯 ㅎㄷㄷ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