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한국인 귀화 명분 흔들린다" 中 린샤오쥔 향한 싸늘한 민심…2경기 연속 충격 실격→"실수가 반복되면 실력" 성토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기타] "한국인 귀화 명분 흔들린다" 中 린샤오쥔 향한 싸늘한 민심…2경기 연속 충격 실격→"실수…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19 10.20






loading_img.jpg?v1






loading_img.jpg?v1


▲ 연합뉴스






[스포티비뉴스=박대현 기자] '빙판 위 천재'로 각광받던 중국 쇼트트랙 간판이 이제는 논란 복판에 섰다.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2025-2026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투어 2차 대회에서 두 종목 연속 실격이란 충격적인 결과로 또다시 고개를 떨궜다. 한때 한국 남자 쇼트트랙을 책임지던 '평창의 영웅'은 현재 중국 대표팀 계륵으로 전락한 양상이다.




린샤오쥔은 지난 17일(이하 한국시간) 캐나다 퀘백주 몬트리올 모리스 리처드 아레나에서 열린 대회 첫째날 남자 500m 예선과 1500m 준준결선에서 연이은 실격 판정으로 쓴잔을 마셨다.




한국 신동민(고려대)과 남자 500m 예선 3조에서 출발한 린샤오쥔은 레이스 도중 프랑스 쿠엔틴 페르콕과 충돌로 코스를 동반 이탈했다. 비디오 판독 결과 린샤오쥔 파울이 인정돼 종목 첫 경기부터 짐을 꾸렸다.




마음을 추스릴 여유가 없었다. 이어진 1500m 준준결선에서도 린샤오쥔은 직선 주로에서 상대 진로를 방해한 것이 확인돼 충격적인 연속 실격 판정을 받았다. 월드투어는 예선 또는 준준결선 탈락자에게 패자부활전 기회를 제공하나 반칙으로 인한 실격패는 '두 번째 찬스'를 적용하지 않는다.




중국 대표팀 동료인 쑨룽과 리우샤오앙은 각각 1500m 결승, 준결승에 안착해 현지 언론은 상대적으로 더 큰 성토를 린샤오쥔에게 쏟아내고 있다. 귀화 5년차를 맞아 트랙 위에서 린샤오쥔 존재감이 점점 옅어지는 흐름이다. 거듭된 부진에 중국 내 여론은 악화일로다. 그를 향한 시선이 신뢰에서 물음표로 급변하고 있다.




중국 왕이닷컴은 "린샤오쥔은 두 종목 모두 페널티로 실격하는 최악의 컨디션을 보였다"고 혹평했다. 소후닷컴 역시 "린샤오쥔의 예상치 못한 추락이 남자 쇼트트랙 대표팀 전체의 성적 하락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꼬집었다. 웨이보를 비롯한 중국 누리소통망(SNS)에는 "실수가 반복되면 실력" "린샤오쥔은 더는 중국의 희망이 아니다"는 비판 댓글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loading_img.jpg?v1

▲ 연합뉴스 / Reuters








린샤오쥔 하락세는 올 시즌 들어 더욱 선명해졌다. 지난 12일 폐막한 월드투어 1차 대회서도 남자 500m와 1000m, 1500m 세 종목 모두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1차 대회 부진을 2차에서 만회하려 했지만 두 종목 실격패란 예상 밖 성적표에 중국 쇼트트랙계에서도 당혹스런 기류가 읽힌다. 일각에서 에이징 커브와 '멘털 불안'을 린샤오쥔 침체 요인으로 함께 꼽는 배경이다.




1996년생으로 서른 줄에 접어드는 선수에게 필연적으로 따라붙는 기량 하락 의구심과 더불어 불안정한 귀화 선수로서 '위치'가 경기 리듬을 흩트린 게 아니냐는 시선이다.




국적이 바뀐 지 5년여가 흘렀지만 중국 팬들 눈에 여전히 린샤오쥔은 외부인 이미지가 강하다. 중국 대표팀 에이스로서 빙판 위서도 싸우고 이방인으로서 빙판 밖에서도 싸움을 이겨내야 하는 이중 구조를 떠안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분석에 힘이 실리는 건 불과 8개월 전만 해도 린샤오쥔은 '하얼빈 영웅'으로 칭송받던 선수라는 점에 있다. 지난 2월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린샤오쥔은 대회 3관왕에 올라 영걸 대접을 받았다. 남자 500m와 1000m, 5000m 계주에서 시상대 맨 위 칸에 올랐다. 주 종목인 남자 500m서 우승한 뒤엔 중국 국가(國歌)인 의용군 행진곡을 목청껏 불러 새 정체성을 강하게 드러내기도 했다.




이때만 해도 중국 팬들은 "완전한 중국인"이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하나 영웅에서 손가락질받는 실격자로 전락하는 데는 단 두 번의 레이스면 충분했다. 대표팀이 린샤오쥔 중심 체제를 재검토해야 한단 현지 보도가 나왔고 동계올림픽을 약 4개월 앞둔 중국으로서도 간판스타 부진이 뼈아프다.














loading_img.jpg?v1






린샤오쥔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남자 1500m 금메달리스트였다. 이듬해 불미스런 일로 입길에 올라 2020년 중국으로 귀화했을 때 중국은 그를 '빙상의 보물'이라 부르며 "한국에서 버림받은 천재가 중국에서 재생을 꾀한다"며 높은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하나 지금은 선수를 둘러싼 온도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중국은 쇼트트랙을 포함한 여러 종목에서 귀화를 통해 국제무대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지만 린샤오쥔 사례는 그 실효성을 의심하는 측의 근거로 활용되는 모양새다.




빙판 위 시간은 잔인하다. 동계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월드투어 1, 2차에서 거듭된 부진이 남은 3, 4차 대회서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린샤오쥔이 '출구'를 찾아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행 티켓을 거머쥐고 평창 대회 이후 8년 만에 올림픽 포디움에 재입성할 수 있을지 국내외 빙상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대현 기자


https://m.sports.naver.com/general/article/477/0000574719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