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충류도 좋고 나쁜 기분 갖는다…"좁은 사육장 재고해야"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파충류도 좋고 나쁜 기분 갖는다…"좁은 사육장 재고해야"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33 10.07







붉은발거북. 위키미디어 제공



붉은발거북. 위키미디어 제공




최근 어린이들 사이에 도마뱀, 거북이, 뱀 같은 파충류를 키우는 것이 유행이다. 파충류를 키우다 보면 파충류가 기분이 좋아보인다고 느낄 수 있다.





지금까지 파충류가 즐겁거나 불쾌한 자극에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장기적으로 특정 기분 상태를 경험한다는 과학적 증거는 거의 없다. 최근 영국 연구진이 파충류도 기분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올리버 버먼 영국 링컨대 교수 연구팀은 붉은발거북을 대상으로 기분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는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한 결과를 6월 국제학술지 '동물 인지(Animal Cognition)'에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다른 파충류에도 확장될 수 있으며 사람들이 거북이를 대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파충류는 ‘지능이 낮은 동물’이라는 오명을 가졌다. 1892년 비교심리학자 찰스 헨리 터너는 파충류를 '지적 난쟁이'라고 불렀다. 1973년 학자들은 파충류를 '반사 기계'라고 부르며 '작고 활발히 기능하지 않는 뇌'만 가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근 파충류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며 거북이가 학습 능력을 보이고 뱀이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악어가 복잡한 의사소통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버먼 교수는 "파충류가 긍정적이거나 불쾌한 것에 반응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장기적인 기분 상태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우리가 파충류에게 올바른 방식으로 질문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기분을 알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지 편향 테스트’를 통해 붉은발거북의 기분 상태를 확인했다. 인지 편항 테스트는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물의 정서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동물복지 연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인지 편항 테스트는 기분이 좋은 개체는 불확실한 상황이나 모호한 상황에서 낙관적으로 해석해 행동하고 나쁜 기분을 가질 때는 비관적으로 반응하는 성향을 활용한다.





연구팀은 먼저 거북이 15마리를 우리에 넣고 바닥에 빈 그릇 두 개를 뒀다. 한쪽 그릇에 다가가면 거북이가 좋아하는 간식 루꼴라가 나왔고 다른 쪽 그릇에 다가가더라도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 거북이들이 위치에 따라 보상이 있거나 없음을 학습시켰다. 그런 다음 연구진은 두 그릇 사이 중간 지점에 세 개의 새로운 그릇을 추가했다.





연구팀은 거북이들이 이 같은 모호한 위치의 그릇을 탐색하는 속도를 기분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했다. 그 결과 자연에 가까운 다양한 자극과 충분한 활동 공간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사육된 거북이일수록 애매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이를 긍정적인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행동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인지 편향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불안 실험'을 추가했다. 2주 동안 낯선 환경과 물체를 거북이들에게 제시한 뒤 거북이의 행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슬로 만든 컵받침 같은 낯선 물건이나 생소한 무늬로 장식된 우리 등을 제공했다. 낯선 환경과 물체는 거북이를 불안하게 만든다.





실험 결과 인지 편향 테스트에서 낙관적 반응을 보였던 거북이들은 낯선 환경에서도 불안을 가장 적게 드러냈다. 낙관적인 거북은 머리를 더 길게 내미는 등 편안하고 자신감 있는 행동을 보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연구결과는 파충류가 기분 상태를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다”고 설명했다.





안나 윌킨슨 공동 저자인 링컨대 교수는 “다른 파충류 집단도 비슷한 테스트를 진행해 봐야하겠지만 적어도 붉은발거북이 장기적인 기분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현실에서 파충류의 복지는 열악하다. 좁은 사육장에 길러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파충류 복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버먼 교수는 “파충류가 단순히 순간적인 쾌락이나 불편함뿐 아니라 장기적인 고통과 만족감도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74419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