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 단지.
photo
뉴스1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절반 이하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규제 강화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등의 영향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며, '급등세 이후 관망'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30일 발표한 10월 4주(10월 2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3% 상승했다. 전주(0.50%)의 절반 수준으로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전국적으로도 상승폭이 0.12%에서 0.07%로 축소되는 등 전반적인 관망세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 감소와 거래 부진으로 상승세가 둔화됐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대출 제한 강화로 관망세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권 11개 구의 상승률은 0.62%에서 0.31%로, 강북 14개 구는 0.37%에서 0.14%로 각각 절반가량 줄었다. 자치구별로는 성동구가 1.25%에서 0.37%로, 광진구가 1.29%에서 0.20%로, 강동구가 1.12%에서 0.42%로, 송파구가 0.93%에서 0.48%로 각각 상승폭이 급격히 둔화됐다.
강남·송파·양천 등 주요 지역에선 '거래 절벽'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수원 권선구(0.08%)와 구리시(0.18%) 등에서는 오히려 상승폭이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전세가격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전주(0.13%) 대비 0.14% 상승했고, 인천(0.05%)과 경기(0.09%)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국 기준으로는 0.07% 올랐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