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기예르모 델 토로, "괴수는 나의 힘, 관객은 나의 생명력"

    고객센터이미지
    토토힌트 이벤트

'프랑켄슈타인' 기예르모 델 토로, "괴수는 나의 힘, 관객은 나의 생명력"

하이커뮤니티매니져 0 5 09.20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







<판의 미로>, <


퍼시픽 림


>,<


세이프 오브 워터:사랑의 모양


>, <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 그리고 <


헬보이


>의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한국을 찾았다.




넷플릭스 신작 <


프랑켄슈타인


>을 들고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를 찾은 것이다. 이번이 첫 한국 방문이다.






19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비프힐의 기자회견실에서는 BIFF 갈라 프레젠테이션 초청작 ‘프랑켄슈타인’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자신의 작품 세계와 한국 영화인에 대한 사랑을 숨기지 않고 털어놓았다.







넷플릭스 영화로 완성된 ‘프랑켄슈타인’은 메리 셸리의 고전소설 ‘프랑켄슈타인’을 각색한 작품이다.






수없이 많이 재생산된 '프랑켄슈타인'이지만 기예르모 델 토로에 의해 다시 한 번 생명력을 얻게 된다.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한국 방문은 처음인데 영화제의 규모와 수준, 영화에 대한 한국 관객들의 취향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작품에 대해 "‘프랑켄슈타인’은 불완전과 용서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다. 좋은 것과 나쁜 것, 그 가운데에 있다. 아침엔 성인이지만 저녁엔 나쁜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런 불안정성을 인식하고 우리 모습을 왜 용서하지 못하는지를 말하고 싶다. 그것을 인정한다면 우리 목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리 셀리의 원작과 관련해서 "원작과 저의 전기적인 이야기가 비슷한 지점이 있다. 소설가의 삶을 알수록 저의 개인적인 프로젝트가 됐다. 제가 40대에 만든 것과 60대에 만든 ‘프랑켄슈타인’이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괴수(몬스터)에 대한 사랑도 숨기지 않았다.






"괴수에 매력을 많이 느낀다. 왜냐하면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억압적이라고 생각한다. 삶은 고통으로 가득하고 완벽하지 않다. 인간의 어두운 면을 대변하기도 하고, 비범하기도 하다. 그래서 상징성이 크다. 종교가 무엇이든 상관 없이 천사와 악마를 통해서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완벽하지 않음에 더 포커스를 맞추는 것 같다. 이 괴수들은 좋은 심벌이 될 수 있다. 괴물이라는 우화를 통해서 저의 생각을 관객과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괴수가 제 영화에서 잘 살아날 수 있도록 디자인을 해야한다”


고 말했다.












프랑켄슈타인





한국 관련 이야기가 나오자 멕시코 출신의 델 토로 감독은 "저는 한국과 멕시코가 공유하는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 우리 다 술 좋아하지 않나. 장르 영화를 할 때에는 문화의 프리즘을 통해서 그 장르를 다룬다."며 "문화적 프리즘을 통해서 그 장르를 다루는데 한국의


박찬욱


감독님은 혼돈, 부조리, 시적인 추악함 모든 것을 한 영화에 잘 버무린다.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을 보면 존재론적이고 아주 깊고 그런 질문들을 드러내고 '괴물'을 보면 괴수 디자인이 정말 너무나 멋지다. 그런 영화를 통해 한국 사회를 보여준다. 저는 제 영화를 통해 멕시코인으로서 정체성을 드러낸다"라고 말했다.






델토로 감독은 한국영화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한국 영화를 보면 볼수록 정말 문화에 대해서 센스, 그리고 장르 자체가 다른 나라에서 만드는 상업적인 것과 정말 다른 방식으로 문화를 유니크하게 다룬다. 제가 정말 사랑하는 영화들이다, 제가 '악마를 보았다', '부산행', 또 다른 박찬욱 영화들, 봉준호 영화들, 이런 영화를 볼 때마다 에너지와 힘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한국 괴수에 대한 관심은 없는지에 대한 질문에 “한국 괴수 좋아한다. 한국 괴수와 관련된 모든 신화를 알기 어렵지만, 멕시코에서는 모든 자연의 것에 영혼이 있다고 생각한다. 저는 그걸 너무 좋아한다”고 했다.




이날 감독은 곽재식의 <한국괴물백과> 책을 손에 쥐고 포즈를 취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영화를 만드는 이유에 대해 “


저에겐 영화를 만드는 것이 '필모그래피'가 아니라 저의 '바이오그래피'라고 생각한다. 감독이 영화를 잘 만드는 이유는 다른 걸 다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나에만 집중을 한다. 그렇게 만든 영화는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고 했다.









한편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전날(18일) 열린 '프랑켄슈타인' GV(관객과의 만남)에서 관객 300여 명에게 직접 일일이 사인을 해서 화제가 되었다.







이에 대해 ""저도 관객이었다. 지금의 관객들이 어떠한지 충분히 시간을 들이고자 한다. 감독으로서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데 그 시간을 지나고 사람을 만나면 너무 좋다. 나를 만나러 오신 관객에게 그 가치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프랑켄슈타인' 기예르모 델 토로, "괴수는 나의 힘, 관객은 나의 생명력"











와 ,, 부럽




, , , , , , , , , , , , , , , , , , , ,

Comments

포디움
종목별 팀순위
포디움

순위 경기 승점
1 리버풀 19 12 6 1 42
2 아스널 18 12 4 2 40
3 애스턴 빌라 19 12 3 4 39
4 토트넘 18 11 3 4 36
5 맨시티 17 10 4 3 34
6 맨유 19 10 1 8 31
7 웨스트햄 18 9 3 6 30
8 뉴캐슬 19 9 2 8 29
9 브라이튼 18 7 6 5 27
10 본머스 18 7 4 7 25
11 첼시 18 6 4 8 22
12 울버햄튼 18 6 4 8 22
13 풀럼 19 6 3 10 21
14 브렌트포드 17 5 4 8 19
15 크리스탈 팰리스 18 4 6 8 18
16 노팅엄 포레스트 19 4 5 10 17
17 에버턴 18 8 2 8 16
18 루턴 18 4 3 11 15
19 번리 19 3 2 14 11
20 셰필드 19 2 3 14 9